최근 반도체 공급부족 이슈로 인해
반도체 투자 금액이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반도체 투자는 기본적으로 몇 십조원인데,
그만큼 이에 수혜받는 기업들도 많다.

지금은 다소 조정받는 반도체 산업이지만,
여전히 반도체 산업 투자금액이 많은만큼
반도체 장비 관련주 주가는 견조하다.
사실 반도체 기업에서 투자를 진행하면
대부분의 금액은 해외 탑티어 장비회사로 흘러간다.
하지만 반도체 공정 특성상
기술력이 좋은 장비 & 하급 장비로 이루어지므로
국내 장비사들 또한 수혜를 받을 수 있다.
만약 펀더멘털과 기술력을 중요시하면
탑티어 반도체 장비 회사 주식을 매수하면 된다.
비록 국내 장비사들은
펀더멘털이 뛰어나진 않지만
업사이클이 돌때 주가 상승률은
폭발적인 모습을 보여줌.
이번 포스팅에는 국내 상장사 위주로 정리해본다.
▶ 반도체 전공정 장비
1. 에이피티씨
에이피티씨는 플라즈마를 사용하는
건식식각 장비를 판매.
삼성전자 자회사 세메스와 더불어
유일하게 국내에서 플라즈마 식각장비 제조.
세메스는 주로 삼성전자에 납품.
에이피티씨는 SK하이닉스에 납품.
매출은 SK하이닉스향으로 발생하며
메모리 반도체 업황(NAND)에 크게 연동된다.
다만 최근에는 메모리 반도체 업황이
조정을 받게 되면서 주가도 조정 중.


2. 테스
증착공정에서 사용되는 CVD 장비,
건식식각 장비를 제조하는 회사.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다.
건식식각 장비 매출 : 60%
CVD 장비 매출 : 15%
유지보수 매출 : 25%
NAND 시장은 치열한 점유율 싸움이 진행 중인데
이에 테스가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실적 전망치, 주가가 상승하는 추세.
특히 2021년 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됨.
참고로 나훈아 테스형! 관련주가 된 이력이.. ㅋㅋ


3. 피에스케이
Dry Strip 장비를 제조하는 회사.
박리(Stirp) 공정은 식각공정 이후 남아있는 포토레지스트(PR)를 제거하는 공정.
매출 구성은 국내 반도체 기업에 한정되지 않고
글로벌하게 분포되어 있다.
PR Strip 장비 점유율 1위이며,
글로벌 탑티어 장비회사 램리서치, TEL 등과 경쟁 중.
펀더멘털을 중요시하는 투자자라면
피에스케이에 투자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봄.


4. 원익IPS
증착공정에서 사용되는
CVD, ALD 장비를 제조하는 회사.
원익그룹 계열사 중 특수가스 업체
원익머트리얼즈와 상관관계가 높다.
예를 들면,
원익IPS 증착 장비가 설치되면
증착 설비에서 사용되는 특수가스를
원익머트리얼즈에서 공급받는 방식.
원익IPS 증착설비 수주가 증가할수록
원익머트리얼즈의 실적도 증가하니 참고.
반도체, OLED 생산업체에 납품하며
대부분 삼성전자향 매출이다.
메모리, 비메모리 반도체 공정에 적용되며
실적이 삼성전자 투자금액에 연동된다.
2020년 실적은 역대급 포퍼먼스였는데,
올해 실적도 다시 한번 갱신할듯.


5. 케이씨텍
반도체 증착공정 이후 연마(평탄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CMP 장비를 납품하며
연마 공정에서 사용되는 슬러리도 납품.
OLED 매출향은 세정, 현상, 식각 설비로
Wet Chemical을 사용하는 설비를 납품.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연마 공정 소재 슬러리 : 35%
반도체 장비 매출 : 35%
디스플레이 장비 매출 : 30%


▶ 반도체 후공정 장비
1. 유니테스트
메모리 반도체 테스트 장비가 주력이고
번인 테스트, 패키지 테스트 공정에서 사용.
테스트 장비는 일본 Advantest가 선점한 분야인데,
유니테스트가 일부 장비 국산화에 성공하였다.
유니테스트 매출구성은
반도체 테스트 장비 매출 60%,
태양광 시스템 매출 40%이며
반도체 장비 매출 대부분은 SK하이닉스향.
태양광 시스템 매출때문에
반도체 테스트 장비 수혜를 고려할 땐
약간 애매해지는 부분도 있음...


2. 엑시콘
유니테스트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테스트 장비를 제조.
매출 비중은
NAND향 60%, DRAM향 40%이며
대부분 삼성전자향 매출이다.
DDR5 시장 개화로
메모리 테스트 장비 수혜 전망,
CIS 테스터를 통한 비메모리 테스터 진출로 인해
내년 실적 전망이 좋다.


3. 와이아이케이
메모리 웨이퍼 테스트 장비를 납품하며
테스트 장비 부품인 Probe Card도 납품.
삼성전자향 납품 점유율이
일본 Advantest를 제치며 높아지는 중이다.
또한 반도체 생산 업체에 납품하는
Probe Card 점유율도 점점 상승하는 추세.

웨이퍼 테스트 장비에 경쟁력을 가진 업체로
특히 삼성전자 투자에 큰 수혜를 볼수 있는 회사.


4. 테크윙
반도체 칩 테스트 후 등급에 따하 분류하는
핸들러 장비를 납품하는 회사.
테크윙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에 납품.
삼선전자는 자회사 세메스로부터 납품받음.
메모리 반도체를 분류하는 핸들러는
한번에 많이, 빠르게 옮기는 방향으로 발전.
비메모리 반도체를 분류하는 핸들러는
다양한 종류에 대응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화되는 방향으로 발전.
테크윙은 과거
메모리 반도체 핸들러가 주요 매출원이었으나
최근 비메모리 반도체 핸들러를 통해
매출원 다각화를 시도 중.


5. 싸이맥스
반도체 제조 공정마다 각종 장비 내부에서
웨이퍼를 이송시켜주는 보조 장비를 판매 중.
주로 식가, 증착 공정 등 전공정 장비에 채택.
매출은 대부분 삼성전자향.
이송장비는 전공정 장비 투자 규모에
따라가는 형태라서 전공정 장비 업황에 연동됨.
최근에는 해외 고객을 유치하는 등
매출처 변화에 힘쓰고 있다.


▶ 기타 부대시설
그외에도 반도체 공정에 필수인 크린룸 설계업체
성도이엔지, 한양이엔지, 신성이엔지.
Gas, Chemical 공급장치를 제조하는
원익홀딩스, 에스티아이
배기물질 정화 목적인 스크러버를 제조하는
유니셈, GST 등도 있다.
이들 업체는 반도체 공장이 처음 건설될 때
큰 수혜를 받는데, 반도체 장비 증설 이슈엔
수혜가 약간 애매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번엔 이들 업체에 대한 자세한 글을 써볼 예정이다.
'산업 >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출하량 감소와 메모리 반도체 턴어라운드 (0) | 2021.10.13 |
---|---|
반도체 OSAT 관련주, 에이팩트 윈팩 주가 전망 (0) | 2021.09.25 |
반도체 패키징 공정과 관련 업체들 (0) | 2021.09.01 |
반도체 테스트 공정과 관련주 (0) | 2021.08.30 |
반도체 공정용 특수가스 (0) | 2021.08.20 |
댓글